본문 바로가기

일기/Reverie 작업 일지

(190)
20240304 extraLevelSelectScreen cursor와 관련해서 삽질을 해서 여러번 갈아엎었다. 중요한 차이는 extra Scene 에서 Swap이 되게 하고 싶다는데 있었다. 그래서 extra Scene의 outGame의 특성과 ingame의 특성을 같이 공존하게 하려다 보니 삽질을 많이 했고 지금도 오류투성이인 상태이다. 이렇게 하려는 데에는 해금시스템을 만들려다가 babaisyou 와 같은 느낌을 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20240303 extra level select screen 기초 UI구현 정석적으로 개발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잘 구현되는 중. 평소 같았으면 이쯤에서 작업현황을 공유하고 피드백 받거나 했겠지만 이번엔 좀 더 혼자 작업해 보려고 한다.
20240302 개 제작 extraLevelSelectScreen 구상 개가 거의 다 완성됐다. 사실 지금 정도에서 완성으로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생각보다 오래 걸렸던 개 제작 이후로 원래 하려 했던 extra level select screen 제작에 들어갔다. 현재는 baba is you 같은 방식을 채택하려 했는데, 이제와서 다시 고민된다. 왜냐면 baba is you 는 인게임과 메뉴 모두 탑뷰방식이여서 통일성이 있다. celeste의 collab의 경우도 여러 맵들을 고르는 방식을 인게임 방식과 통일시켜놨다. 그래서 메뉴선택과 인게임 조작 방식을 통일시키는게 좋은 디자인이라고 한다면 우리의 메뉴도 사이드뷰의 조작이 들어가는게 좋을 것 같다. 슈퍼마리오는 조작방식이 다르긴 한데 이런 차이는 왜 나는건지 궁금하다.
20240301 레벨 디자인 개 점프기능 추가 개의 인공지능에 대해 회의를 했는데, 어렵다. 오브젝트가 "개"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개가 어떻게 움직일 것이다 라는 생각을 가기 쉬운데, 우리가 구현한 것이 너무 비직관적으로 보이지 않나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면서 직관적으로 바꾼다면 그것이 퍼즐적인 요소로 재미있을 수 있을까 하는 문제가 있다. 나와 동료의 의견이 좀 다른데, 뭐 어쩔 수 없지만 왠만하면 하자는대로 하고 있다. 일단 나는 당장 레벨디자인을 해서 아이디어가 없는 상태라 레벨디자인은 동료에게 넘기고 개 인공지능을 더 만들 예정이다.
20240228 페어 프로그래밍 및 회의 개와 관련하여 코드리뷰 및 페어프로그래밍을 했다. 개와 관련하여 꽤 잘 만들었다 생각했는데 기존 작업물에서도 개선점이 많아 당혹스러웠다. 페어프로그래밍은 Undo 기능 관련 부분을 강화했다. 그 과정에서 이것저것 새로운 프로그래밍 개념에 대해서 배웠는데 아직 체득은 안됐다. 변수가 같다면 행동이 같아야 한다는 개념이 있다는 것 같다. 과거 트렐로를 사용하여 작업일정을 관리했었는데 slack을 쓰며 사용하지 않게 됐었다. 이걸 notion을 통해 다시 관리해 볼 생각이다.
20240227 개 작업 개와 관련한 다양한 버그를 해결했다. 자잘한 버그가 많았는데, 동료와 논의하니 거의 한번에 해결됐다. 역시 아직 개발력이 부족한 것 같다. 좀 억울하게 Unity버그로 일어나던 것도 있었다. 이러면 개는 어느정도 다 개발한 것 같다. 앞으로는 개를 회피하는 기가막힌 방법이 있는지 보고 막던가 자연스러운 지형을 배치할 예정이다.
20240226 개 인공지능 작업 개 인공지능 작업을 했다. 대부분은 버그 수정이었지만... 그래도 이번에 개를 추가하면서 활용이 쉽도록 하드코딩한 것은 도움이 될 것 같다.
20240225 개 인공지능 작업 개의 인공지능을 작업하고 있다. 뭔가 어렵지는 않은데, 자꾸 작업이 효율적이지 않고 뭔가 끊긴다. 각각의 필요한 기능은 어떻게든 만들 수 있는데 좋게만드는게 어려워서 그런 것 같다.